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16

영월 단종문화제 동강 둔치 주변 조선 시대 역대 왕 중 비운의 왕인 '단종' 즉위한 지 3년 만에 수양대군에게 왕권 빼앗겨 상왕이 되었다. 단종복위운동 활동 중이던 성삼문 등이 죽임을 당하자 서인으로 강등되어 자결을 수차례 강요당하여 결국 1457년(세조3) 10월 24일 이곳 영월에서 최후를 맞이하였다. 그래서 영월의 축제는 단종문화제다. 1967년부터 실시해 매년 4월 말쯤 열리는데 올해로 41회째다. 제천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영월행 시외버스를 타고 영월에 도착했다. 그런데 작년(2006년) 제천에서 영월 갈 때 자전거를 타고 소요시간 많이 걸릴 뿐. 똑같은 오는 길이 생각난다. 영월 시내에 헬기가 지나가지만, 동강 둔치 상공에서 빙빙 날고 있다. 헬기 기종은 모르겠지만. 동강 둔치에 수많은 천막과 차량이 세웠다. 각 지역 단체 관광.. 2007. 4. 29.
1993년 구포역 열차전복 사고 1993년 3월 28일 경부선 하행선 구포역에 진입 중이던 7116호 디젤기관차 부산행 무궁화호가 지반침하로 3m 주저앉고 전복 객차 4량이 탈선했다. 사망자 78명, 부상자 140여 명에 최악의 대참사가 발생했다. 사고원인은 구포역 부근 한국전력의 지하케이블 터널 공사 중이 었는데 당시 삼성종합건설이 안전대비를 대해 무시한 채 발파공사로 지반이 약화로 밝혀졌다. (월간 신동아 1993년 5월 절반 인용) 지반이 3m 주저앉은 사고가 난 7116호 디젤기관차 모습이다. 장폐단 동체 부분이 태웠고 두 기관사는 무사했다고 한다. 지금은 폐차한 지 오래되었다. 왼쪽은 발전차가 골목길로 옮겼고 오른쪽은 찌그러진 객차와 멀쩡한 객차 선로 옆으로 옮겼다. 특히 찌그러진 객차 안에 있던 승객들이 피해가 더욱 컸다. .. 2007. 4. 19.
중랑천의 두 번째 철교 - 망우선 이문철교 이곳 망우선 화물열차 매일 왕복 6회 이상 대부분 양회조차가 지나간다. 양회조차 외에도 울산발 성북행 차량 수송차 하루 왕복 2회 있지만, 중앙선 통하지 않고 대구선 -> 경부선 -> 경원선 통해 성북역에 도착한다. 결국은 망우선 지나간 게 거의 양회조차만 전부다. 그렇지만 늦은 밤 전동차 막차 운행 마치고 이문차량 사무소로 회송하기 위해 망우선 통해 지나갈 것 같다. 중랑역에 내린 후 골목길과 시장길 거처 이곳 이문철교 금방 도착했다. 이문철교 건너가면 (구) 이문역 통과하지만 이미 폐역된 지 오래다. 망우선 담벼락에 ‘그래피티’라는 그림 같은 낙서했다. 어느 동네 담벼락에 그림 같은 낙서 칠한 거 볼 수 있는데 물론 허가를 받아서 낙서한 거 겠지만, 허가 없이 낙서했다간 고발조치감 이다. 예전에 철도.. 2007. 4. 17.
인천 축항선에서 등장한 중련 디젤기관차 인천 축항선에 중련 디젤기관차가 등장했는데 19시 출발하는 입석리행 화물열차다. 인천에서 이런 중련 디젤기관차는 임시열차 제외하고는 정기적으로 운행한건 오직 이거밖에 없었다. 사실.. 전기기관차로는 운행가능 하는데 전차선 있는데도 불구하고 경부, 호남선 제외하고는 왜 굳이 디젤기관차만 운행하는 건지 정말로 모르겠다. 전차선 부설은 지난 1986년에 부설했고 당시 전기기관차가 인천에서 몇 차례씩 운행했을 것 같다. 그 후로는 전기기관차가 사정으로 운행중단 하고 지금까지 계속 디젤기관차만 운행하는 중이다. 사진은 2007. 4. 11.- 12. 파라다이스 호텔 주차장에서 촬영했습니다. 2007. 4. 14.
경기화학선(KG케미칼선) 마무리 탐방기 지난 2005. 3. 15. 경기화학선(KG케미칼선) 철길 걸어서 답사하다가 저녁이 되자 노온사동 범일운수 종점 차고지에서 중도 포기했다. 그 후 2년만에 다시 노온사동에 왔다. 2년 동안 깊숙이 박힌 듯이 잊을 수 없지만 2년 전 오류동 - 노온사동까지 사진 촬영한 거 있지만, 나의 블로그 찾아봐도 없다. 나중에 중복될지도 모르겠지만, 사진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노온사동 범일운수 종점 차고지 근처와 그 앞 건널목에 있고 광명시와 시흥시 경계 사이 구간이다. 광명에서 건널목 넘으면 시흥으로 들어오고 시흥에서 건널목 넘으면 광명으로 들어온다. 마치 나라 간 국경에 연상케 하듯이 생각한다. 철길 옆에 소형 디젤기관차가 있다. 소형 디젤기관차의 엔진이 살아있는지 모르겠지만 아시다시피 방치 중이다. 그리고 소.. 2007. 4. 12.
원조 광명역 - 도시철도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역 예전에 큰 이모네 갈 적에 이곳 광명사거리역에 이용했었고 지금도 큰 이모네 이곳 근처에 계시고 있다. 사실.. 원래 이역은 고속철도 개통 이전에는 광명역이었다. 고속철도 개통 후 결국 광명역 이름은 고속철도역으로 넘겨주고 ‘광명사거리’라는 역명으로 대체했다. 고속철도 개통 이전 광명 시내 전철노선은 한 곳밖에 없고 지하철역은 두 곳뿐이다. 지난 2000년 2월 2단계 구간 개통해 이곳에 지하철 역명이 생겼다. 그러나 4년 뒤 2004. 4. 1. 고속철도 개통하자 또 하나 역명이 생기자 이용객들이 자칫 헷갈릴 우려가 높아 고속철도역 자리에 넘겨줄까. 아니면 그대로 놔둘까. 둘 중 하나 선택해야 하는데 결국은 고속철도역 우선 쪽이라 역명 자리를 넘겨주고 넘겨진 후 워낙 아쉬웠다. 하지만 덕분에 광명사거리 .. 2007. 4. 10.
종착역과 1호선(경인선) 환승 - 도시철도 지하철 7호선 온수역 예전에 큰 이모네 갈 적에 지하철 7호선 온수역에서 타고 갔었다. 그렇지만 여행 아닌 시민들의 출퇴근 대중교통 수단이다. 나는 지하철 7호선 온수역에서 많이 승차한 적 있지만. 온수역에서 내린 뒤 1호선 중저항 전동차 완전 신도색 적용했다. VVVF 전동차 신도색 적용 마치고 이제는 저항 전동차 신도색 하나둘씩 적용 중이다. 그나저나 초저항 전동차 신도색 적용하면 어떻게 변할까?? 1호선 전철에서 내린 뒤 바로 지하철 7호선 환승한다. 처음부터 승차할 때 지하철 7호선에서 승차해야 하는데 어떨 때는 1호선(경인선) 승강장 거쳐서 7호선에서 승차하기도 한다. 환승할 때 양쪽 끝에 있는데 모두 반 바퀴씩 돌며 환승해야 한다. 무빙워크는 있지만, 출퇴근용 때 가동하고 평소 때는 에너지 절약하기 위해 가동을 중.. 2007. 4. 8.
개통 후 영업에 들어간 인천공항철도 전동차들 지난 2007. 3. 23. 최초로 민간운영방식으로 철도 개통 후 본격적으로 영업에 들어갔다. 현재 2단계(서울역까지) 공사 진행 중이다. 전 구간 개통은 오는 2009년. 2년 동안 기다릴 수밖에 없다. 요금은 일반전철 요금은 3,100원이고 직통전철 요금은 7,900원이다. 환승은 당연히 안 되니 두 번이나 요금을 내야 할 판이다. 자전거를 타고 검암역 근처에 도착했고 목적은 당연히 전동차 잡사진이다. 서서히 검암역에 도착한다. 전동차 안에 있던 승객들은 여유 있는 편이고 서 있는 승객들은 거의 없다. 일부 철도동호인들이 타고 있을 것 같다. 잠시 후 직통열차가 지나가고 검암역에서는 정차하지 않고 통과한다. 김포공항에서 인천공항까지 다음역 정차하지 않고 곧 바로 간다. 자전거를 타고 고속도로와 공항철.. 2007. 3. 28.
파나소닉 FZ50 영입과 야간촬영 지난 2007. 3. 24. 토요일 그동안 나의 돈 모아서 남대문 수입상가에서 정품으로 구입했다. 처음으로 기계식 줌인 하이엔드 디카 내 손에 들어왔다. 원래 용산에서 사려고 했지만, 특히 나진상가 12, 13동에는 거의 대부분 내수품 들어있을지도 모른다. 물론 정품도 있지만. 이젠 올림푸스 디카는 벗어나고 파나소닉으로 넘어왔다. 구입하기 전 DSLR 구입하고 싶지만, 렌즈도 별도추가로 구입해야하고 관리도 잘해야 하는데 게다가 나는 손 떨림 보정기능은 물론이고 망원 쪽이 선호한 편이다. 구입 후 처음에는 숨겨놔야 하지만 이미 부모님이 자주 감상하러 오자 결국은 혼날 수밖에 없었다. 역시 손 떨림 보정기능이 있자 흔들림이 거의 없다. 그리고 ISO400 설정했지만, 노이즈는 거의 없다. ISO1600 설정.. 2007. 3. 26.
에프킬라와 원조 에프킬라 삼성제약 살충제 브랜드인 에프킬라 아니고 그냥 '킬라'다. 참으로 오랜만에 보는데 주로 슈퍼마켓이나 할인점 또는 약국에서 판매 하고 있다. 삼성제약 '킬라'는 이전 브랜드인 '에프킬라'다. 1960년대 일본 살충제 업체인 '긴죠'사의 기술 도입해 처음에는 유리병으로 판매했지만 당시 유리값이 비싸 스프레이로 판매했다. 그러나 살충량이 적어 얼마 못 갈 것 같자 용량 길게 늘었다. 삼성제약 '에프킬라'는 한때 국내에서 베스트셀러 상품이고 국민 살충제다. 이외에도 모기향초와 전자모기향 다양한 살충제 제품들도 있었다. 삼성제약 킬라와 에프킬라 제품비교. 왠지 형과 아우 사이 인 것 같다. 그러나 IMF 이후 살충제 사업부는 외국계 기업인 한국존슨 에게 매각했지만 '에프킬라'는 그대로 판매해왔다. 하지만 삼성제약.. 2007. 3. 12.
도계역 도착 후 스위치 백 중간 답사 험한 산 넘고 스위치 백 건넌 뒤 그 다음역인 도계역에 도착했다. 오후 4시쯤 도착했지만, 이제서야 점심 먹은 뒤 걸어서 스위치 백 그곳에 충분히 도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해 질 녘이 되어 스위치 백 답사는 그리 오래 있지 못하고 금방 초저녁이 되었다. 도계역 뒷산에는 표준 궤로 보이는 인클라인 철길이 있다. 일제강점기 때 인클라인 연상케 하는듯했다. 그런데 옛날에 있던 인클라인 철길보다 경악적인 구배, 게다가 구배 길이는 3~400미터쯤 된다. 도계역 뒷산 정상에는 폐석처리장이고 도계광업소 에서 운용 중이지만, 낡은 철길이라 만약 지금 사용 중이라면 철길, 모터, 각종 장비 시설 점검 또는 보수 해야 할 판이다. 뒷산 그 밑은 가옥과 사찰깃발 걸린 무당 절(점)이 보이는데 사실은 이곳 도계는 많은 무.. 2007. 3. 8.
1980년 일본 항공자위대 F-15J 미국제작 1980년 7월 15일 미국 맥도널 더글러스(지금은 보잉)사에서 제작해 이글 1호기 공개했다. 미국이 1972년 부터 생산한 지 8년 만에 이스라엘 이어 두 번째로 일본이 도입했다. 당시 퇴역 앞둔 F-104 대체하기 위해 F-SX 사업에서 F-15로 선정했다. 이글 1호기 사진은 흑백이지만, 컬러사진 찾기 힘들어 할 수 없이 포토샵으로 컬러사진 복원했다. 물론 근무시간에 했지만, 복원한 컬러사진은 약간 과장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원본 흑백사진을 컬러사진 복원 전이다. 컬러사진으로 복원된 모습. 그러나 길바닥만 흑백사진처럼 여전하고 게다가 약간 과장된 복원 있을지도 모른다. F-15J 전투기는 14대(단좌 2대, 복좌 12대) 미국에서 직도입했고 1981년부터는 일본 미쓰비시 중공업 나고야공장에서 2.. 2007.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