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도 출사기288

2013년 추석 연휴 지나가는 임시열차들 추석 연휴 기간에 레이디버드(통통통 뮤직트레인) 비롯한 팔도장터열차, 누리로호 등 임시열차를 동원했다. 특히 한동안 거의 나타나지 않았던 레이디버드 열차가 오랜만에 나왔지만, E-train이라는 개조 목표로 사실상 마지막이 될지도 모른다. 사진과 동영상 촬영은 2013. 9. 19. 양평역 부근 육교, 2013. 9. 20. 남영역, 신길역, 천안역 부근 성정육교, 구로역에서 촬영했습니다. 2013. 9. 26.
갓 도입한 시험 운전 중인 수인선 전동차 모처럼만에 구로 IC 포인트 가기 위해 전철을 타고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가는 사이 구로역에서 출발하자마자 갓 도입한 351x69편성 수인선 전동차가 발견했다. 스크린도어 미설치한 곳에서 사진을 담았지만, 갑종회송 후 며칠 동안 구로차량사무소에서 점검을 마친 뒤 출발하여 시흥 차량사무소로 향하고 있었다. 사진은 2013. 9. 16. 독산역에서 촬영했습니다. 2013. 9. 17.
저 고가 철길은 어디로 가는 걸까? - 3창 전용선 탐방기 천안 갈 때 전철을 타고 성환역에 도착 직전 이상한 고가 철길이 봤었는데 저 선로는 군부대에 연결하는 전용선로였다. 선로거리는 5km 정도며, 1990년대에 부설했지만, 최근에는 운행을 중지한 상태다. 성환역에서 출발부터는 고가 철교 건너기 전 철로 주변에는 잡초들이 널려있지만, 나름대로 양호한 편이다. 고가교 철길에 걸어갈 수 없자 우회로 걸어왔는데 고가 철교 도로 한복판에 대학 현수막을 내 걸었다. 철로 변 산기슭(?)에 올라왔는데도 성환 방향 선로는 널브러진 잡초가 거의 없고 부대 방향 철로 변은 마른 잡초가 널브렸지만 여전히 양호했다. 90년대 부설된 전용선 관리가 잘된 듯 하는데 어쩌면 새로 이설한 선로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고가 철교를 지나고 바로 개방된 철문이 지나 울창한 숲을 이어지다가 끝.. 2013. 9. 15.
최후의 구 도색을 남긴 7236호 디젤기관차 지난 1994년(정확히 몇 년부터는 모르겠지만.) 새로운 CI 변경과 동시에 새 도색을 적용했었다. 그로부터 거의 10년 지나기 전 또다시 새로운 CI 변경과 동시에 새 도색을 적용 후 1994년 적용된 도색들은 하나둘씩 사라져 가고 있는데 유일하게 7236호 디젤기관차만이 남아있었다. 폐차를 앞두고 나머지 새 도색 한 디젤기관차들과 같이 운명을 맞게 되는데 유독 하나만 최후의 구 도색을 남긴 이유는 알 수가 없다. 무궁화호 #1404 [목포 - 용산](??) 사진은 2005. 4. 2. 금천구청((구) 시흥)역 주변 자전거 도로에서 촬영. 화물열차 #3386 [괴동 - 입석리] 사진은 2013. 3. 21. 옹천역에서 촬영. 화물열차(무화회송) #3119 [의왕 - 순천] 사진은 2013. 6. 12... 2013. 8. 4.
경의선 ITX 청춘 지난 2013. 2. 22. 로지스에서 신창 - 일산 2172(2171) ITX 청춘 열차가 나왔다. ITX 청춘 열차가 경의선 입성은 처음일지도 모르지만, 홍성에서 남당항 새조개축제로 2. 22., 2. 26. 단체관광열차를 마련했다. 원래 홍성역에 도착하기 위해 무궁화호 단체관광열차를 마련해야 정상인데 하필 ITX 청춘 열차로 대신해야 하는지 아무래도 뭔가 찝찝한 기분이. 사진과 동영상 촬영은 2013. 2. 22. 대곡역에서 촬영했습니다. 2013. 6. 8.
갯벌과 공항철도 모처럼만에 자전거를 타고 논골이라는 갯벌가에 도착해 인천 방향 나왔다 들어왔다 운행한 공항철도 전동차들이 갯벌과 함께 사진을 담아봤다. 사실 예전에 이 땅은 농사용 논에 사용했던 땅이지만 미단시티 영향으로 지금은 공원화로 변했다. 사진은 2013. 5. 19. 논골 갯벌가 공원에서 촬영했습니다. 2013. 5. 29.
2013. 4. 14. 지나가는 열차들 모처럼만에 흔하지 않은 곳에서 출사했지만, 가보지 않는 곳이 있다. 지하철 7호선 청담대교 포인트와 9호선의 유일한 지상역인 개화역에서 사진을 담아봤다. 아직까지 4량 편성으로 운행하는 9호선 전동차는 급행열차 덕에 거의 콩나물시루화 되기 전 6량으로 증결했으면 좋겠고 서울 도시철도와 로윈과의 합작품인 SR 전동차를 잡았다. 사진은 2013. 4. 14. 개화역, 청담대교 앞 체육시설에서 촬영했습니다. 2013. 4. 18.
응봉산 개나리꽃들의 지나가는 열차들 2013년 4월 응봉산에 개나리꽃이 활짝 피었다. 그러나 3월이 지나고 4월 되면서도 변덕스러운 날씨는 여전했다. 이젠 내년 봄 따뜻한 날씨에 개나리꽃들이 활짝 필 때까지 안녕.~~ 화물열차 #3353 [인천 - 제천조차장] 화물열차 #3241 [수색 - 제천조차장] 화물열차 #3116 [동산 - 광운대((구) 성북)] 화물열차 #5622 근거리 [망우 - 수색] 응봉산 포인트의 장소였던 용비교는 상습 정체로 확장공사 진행 중이다. 때문에 인도 길은 폐쇄하고 어쩌면 공사완료 후 확장개통 하더라도 사실상 차량 전용될지도. 사진은 2013. 4. 11., 14. 용비교 주변에서 촬영했습니다. 2013. 4. 17.
공사를 진행하다 멈춘 영종역 지난 2012년 10월 말 공항철도 영종역 착공에 들어가고 본격적으로 공사에 들어가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13년 1월 말 쯤 이다. 원래 대피선로 없는 곳이 추가 변경으로 인해 기존에 공사하다 방치했던 승강장은 철거하고 인천 방향 80m 정도 옮겨서 공사 진행할 예정이다. 그리고 지난 2013. 3. 28. 영종역 건설현장 및 주민설명회 이후 언제부터인지 2대의 굴삭기 멈춘 채 몇 일째 공사가 멈춘 상태였다. 같이 착공한 청라역 공사는 진행하고 있는데 영종역도 빨랑 공사 움직이었으면 좋겠다. 사진은 2013. 4. 10. 영종역 공사장에서 촬영했습니다. 2013. 4. 11.
2013. 2. 16. 지나가는 열차들 서서히 봄 날씨가 다가오지만, 여전히 추운 날씨나 다름없다. 이날 소정리 건널목 근처와 바로 위 경부고속철 풍세교 겹친 곳 위치한 미죽교 포인트에서 잡 사진을 담았다. 무궁화호 #1405 [용산 - 목포] KTX #141 [서울 - 부산] 무궁화호 #1210 [부산 - 서울] 이날 대전조차장역부터 무슨 이유인지 21분 ~ 30분 사이 지연발생. 무궁화호 #1507 [용산 - 여수(여수엑스포)] 무궁화호 #1306 [동대구 - 서울] 화물열차 #5081 [오봉 - 황등] KTX 산천 #235 [광명 - 부산] 화물열차 #3178 [간치 - 제천조차장] KTX #354 [부산 - 서울(수원경유)] 사진은 2013. 2. 16. 미죽교 앞에서 촬영했습니다. 2013. 2. 18.
2013년 설 연휴 지나가는 열차들 설 연휴 지나간 지 벌써 일주일(2012. 2. 17.)이 지났다. 연휴 기간 동안 임시열차들이 동원했지만, 통통통 뮤직트레인 열차와 백두대간 열차 이번 연휴에 동원한 게 전부라 지난 2012년 추석 연휴보다 약간의 줄었다. 거기다가 다수의 임시열차들이 놓칠 수밖에 없어 결국 누리로호 열차만 촬영을 담은 게 고작이었다. 누리로호 #4352 [광주송정 - 용산] 무궁화호 #1253 [서울 - 해운대] KTX #355 [서울(수원경유) - 부산] 무궁화호 #1511 [용산 - 여수(여수엑스포)] 무궁화호 #4417 [용산 - 광주] 무궁화호 #1426 [광주 - 용산] 사진과 동영상 촬영은 2013. 2. 10. ~ 11. 조치원역, 전의역 부근 고갯길에서 촬영했습니다. 2013. 2. 17.
경인선 ITX 청춘 (3) 같은날인 지난 2013. 1. 1. 로지스에서 춘천 - 동인천 2168(2167) ITX 청춘 열차가 나왔다. 아까 그날 춘천 - 평택 새해 해돋이 단체관광열차와 같은 편성열차 인걸로 보인다. 단지 운행루트만이 다를 뿐이지만. 새해 첫날 춘천 - 평택 청춘 열차를 잡았고 춘천 - 동인천 청춘 열차를 잡았으니 사실상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 소사역에서 ITX 청춘 열차가 눈발이 날린 상태로 달리고 있었는데 갑자기 눈 내리기 시작했다. 사진과 동영상 촬영은 2013. 1. 1. 소사역에서 촬영했습니다. 2013. 2. 14.
경부선 ITX 청춘 지난 2013. 1. 1. 로지스에서 춘천 - 평택 2572(2571) ITX 청춘 열차가 나왔다. 전날 밤 마지막 해인 2012. 12. 31. 평택역에서 출발해 춘천역에 도착했는데 목적지는 새해 해맞이하는 단체관광열차로 아무래도 춘천역에 도착하고 나머지 관광버스 통해 속초나 고성 앞바다로 간 걸로 보이지만. 새해 첫날 첫 임시열차가 운행이 시작하자 해돋이 관광 마치고 평택역으로 향하고 있었다. 사진과 동영상 촬영은 2013. 1. 1. 화서역에서 촬영했습니다. 2013. 2. 13.
2013. 1. 26. 지나가는 열차들 2013년 새로운 해 시작된 지 이제 한 달 가까이 지나가고 있었다. 오랜만에 지나가는 열차들의 잡사를 담아봤다. 사실.. 나의 목적은 8500호대 컨테이너 화물열차를 잡아보려고 했지만, 아침이나 오전에 일찍 출발한 게 대부분이며, 고향으로 돌아온 이후 버스 배차간격 때문에 사실상 불리해진 상태다. 그래도 8500호대 화물열차 운행한 모습을 한 번쯤 직접 보고 싶은 마음이. 새마을호 #1122 [여수(여수엑스포) - 용산] 화물열차 #5081 [오봉 - 황등] 무궁화호 #1506 [여수(여수엑스포) - 용산] 무궁화호 #1425 [용산 - 광주] 무궁화호 #1212 [부산 - 서울] 화물열차 #3536 [익산 - 인천] 화물열차 #3203 [오봉 - 동해] 무궁화호 #1217 [서울 - 부산] 화물열차 .. 2013. 2. 12.
중앙선 ITX 청춘 지난 2012. 12. 30. 한해 마지막 하루를 앞두고 로지스에서 인천 - 덕소 2167(2168) ITX 청춘 열차가 나왔다. 성탄절 날 동두천 - 인천 운행했던 인천 앞바다 해넘이 단체관광열차가 닷새만인 이번에는 덕소역에서 출발하는 전세열차였다. 인천역에서 25분 늦게 출발하는 걸로 알고 있지만, 덕소역에 도착시각이 정상적인 잘 지킨 것 같다. 그리고 구리역에 통과라고 생각했었는데 운행시간 보니까 정차였었다. 사진과 동영상 촬영은 2012. 12. 30. 인천역, 구리역에서 촬영했습니다. 2013. 2. 9.
경원선 ITX 청춘 지난 2012. 12. 25. 로지스에서 인천 - 동두천 2168(2167) ITX 청춘 열차가 나왔다. 성탄절날 2012년 한해 마무리하여 인천앞바다 서해안 해넘이 단체관광열차를 마련했다. 경인선이나 경부선 어느 역에서 출발한 ITX 청춘 임시열차는 오직 경춘선 목적지만이 아니다. 경부선 어느 역에 출발해 경인선이든 경원선이든 목적지 고상홈 승강장 있는 곳이라면 얼마든지 가능하다. 사진과 동영상 촬영은 2012. 12. 25. 인천역, 성북역(지금은 광운대역)에서 촬영했습니다. 2013. 2. 7.
경인선 무궁화호 (32) 지난 2013. 1. 17. 로지스에서 승부 - 동인천 4514(4513) 무궁화호 열차가 나왔다. 중앙, 태백, 영동선 한 바퀴 도는 환상선 눈꽃열차였다. 관광열차 견인한 기관차는 8500호대 전기기관차였는데 이미 서울 - 승부 환상선 관광열차를 담당하고 있었다. 게다가 카페 객차까지 편성으로 아마 정규편성을 빼 온 것 같았다. 원래 임시열차를 견인을 담당했던 디젤기관차는 새마을호 PMC/PP동차 역사 속으로 사라진 이후 남아있던 동차형 객차쪽으로 거의 대거 투입한 것 보아 그런 이유인 것 같았다. 비록 이른 아침에는 볼 수 없었지만 이날 아침 일찍 8500호대 전기기관차는 처음으로 인천에 입성했다. 언젠간 경인선에서 임시열차이든 화물열차든 8500호대 전기기관차의 흔하게 볼 수 있는 날이 머지않았다... 2013. 1. 19.
경인선 ITX 청춘 (2) 지난 2012. 12. 17. 어떤 분의 정보로 로지스에서 부평 - 강촌 2181(2182) ITX 청춘 열차가 나왔다. 지난 2012년 송년이 되자 평일 날 퇴근객들의 위해 주말을 제외한 1주일간 부정기 열차를 마련했다. 평일이다 보니 이용승객들이 적었지만 2012년 한해의 잠깐동안 낭만적인 여행이지만 아쉽게도 나는 이 열차를 탈 시간이 없어 포기하고 말았다. 다음 한해에도 이런 열차 운행하기를 바란다. 사진과 동영상 촬영은 2012. 12. 17. 부평역, 오류동역, 12. 18. 온수역, 12. 24. 노량진역에서 촬영했습니다. 2013. 1. 10.
공항철도의 설경 2012년 12월이 되고 첫눈이자 첫 폭설이 내렸다. 순식간의 하얗게 변하고 철길도 많이 쌓여 공항철도의 설경이지만 아쉽게도 동영상 촬영했던 사진 캡처 3장이 불과했다. 사진과 동영상 촬영은 2012. 12. 8. 벌판 공동묘지, 윗 젓개 거리에서 촬영했습니다. 2012. 12. 19.
경인선 무궁화호 (31) 지난 2012. 11. 23. 로지스에서 원주 - 인천 4523(4524) 무궁화호 열차가 나왔다. 원주, 양평에서 올라온 지역 단체관광객들이 인천역 차이나타운 및 인천시티투어 전세열차로 추정된다. 평일 날 이긴 하지만 전기기관차 견인으로 올까 말까라고 생각했었지만, 역시나 디젤기관차로 운행했었는데 어찌 된 일인지 원주로 돌아갈 때 장폐단 상태로 운행하고 있었다. 혹시나 청량리역에서 디젤기관차 - 전기기관차 교체로 운행할 것 같은 생각이. 사진과 동영상 촬영은 2012. 11. 23. 도원역에서 촬영했습니다. 2012. 12. 2.
경인선 ITX 청춘 지난 2012. 11. 10. 로지스에서 춘천 - 부평 2906(2905) ITX 청춘 열차가 나왔다. 양구에서 양구 5일장, 을지 전망대, 두타연단풍 3코스 관광상품을 준비한 전세열차였다. 지난 2012. 10. 27. 운행했던 동일한 전세열차였는데 나는 또다시 알아채지 못했다. 아침에는 조금 늦게 나온 이유로 놓치고 말았지만 어두운 저녁에 돌아올 때는 나이트 샷으로 동영상 촬영을 담았다. 사진과 동영상 촬영은 2012. 11. 10. 개봉역에서 촬영했습니다. 2012. 11. 28.
경인선 무궁화호 (30) 지난 2012. 11. 10. 로지스에서 동인천 - 영주 4513(4514) 무궁화호 열차가 나왔다. 이 열차는 새로 나온 백두대간 탐방 열차로 단양 5곳, 영주 4곳에 관광코스를 마련한 열차였다. 새로 랩핑을 적용한 백두대간 탐방열차는 이전의 테마 랩핑을 적용했던 팔도 농심 체험열차였다. 비록 객차 1량 줄인 7량 편성되었지만 다가오는 겨울에 중앙, 태백, 영동선 등지 설경과 어울리게 기획을 맞춰졌다.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다음 봄이 찾아오면 랩핑을 해체할지도. 사진과 동영상 촬영은 2012. 11. 10. 부개역에서 촬영했습니다. 2012. 11. 22.
경전선 중리 - 진주 이설 전 지나가는 열차들 경전선 중리 - 진주 구간은 지난 2012. 10. 23. 이설했다. 경전선 중리 - 진주 이설을 앞두고 나는 이 구간을 두 번째이자 마지막의 지나가는 열차들의 모습이다. 경전선 열차편수가 적을 뿐만 아니라 구간마다 교통편이 열악한 이유로 열차이용이 필수적이였지만 이설하고 난 후 이젠 열차 외엔 대체 교통편조차 없는 게 안타까울 뿐이다. 전체적으로 세 번을 답사했지만, 경전선 이설하기 전 이틀 동안이나 동영상 촬영을 담았다. 사진과 동영상 촬영은 2012. 10. 18. ~ 19. 산인역, 함안역, 원북역, 평촌역, 진주수목원역, 진성역, 갈촌역, 남문산역에서 촬영했습니다. 2012. 10. 31.
경인선 무궁화호 (29) 이틀 후인 지난 2012. 10. 25. 로지스에서 동인천 - 정선 4512(4511) 무궁화호 열차가 나왔다. 강원도 정선에서 정선 5일장으로 추정되는 단체관광열차다. 이번에 편성된 열차 일부는 8개 창의 무궁화호 객차가 들어있었다. 이젠 폐차할 시기가 될 것 같지만. 사진과 동영상 촬영은 2012. 10. 25. 도원역과 부근 육교에서 촬영했습니다. 2012. 10. 29.